방문을 환영합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공급기준

 

원칙적으로 신규 공급(허가, 증차)을 금지하되, 일부 특수용도형 화물자동차 및 특수용도형 특수자동차는 예외적으로 허용

 

- (공급 허용) 특수용도형 화물자동차 중 피견인 차량(덤프형 제외)노면청소용청소용최대적재량 100톤 이상 차량, 특수용도형 특수자동차

 

- (공급 불허) 일반형밴형덤프형, 공급허용 차량 외의 특수용도형 화물자동차(살수용, 덤프형 트레일러, 석유류·화학물질 탱크로리, 냉장냉동용, 자동차수송용 등), 구난형·견인형 특수자동차

 

집화·분류·배송 형태의 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화물자동차(택배차량)택배용 화물자동차 운송사업 허가 요령(국토부 고시 제2018-219, ‘18.4.12)에 따라 시행

 

. 특수용도형 화물자동차 신규 공급

 

󰊱 허가원칙 및 절차

 

당해지역() 해당 특정화물의 수송을 위한 차량수요* 공급상황** 등을 고려하여 공급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허용

 

* (차량수요) 도가 지침 등을 제시하지 않은 경우 시구는 신청인으로부터 물량계약서(최소 3개월)를 제출받아 물량계약서의 진실성 검토

 

** (공급상황) 당해지역 내 해당 용도 차량의 수, 차량의 연간증가율, 양도양수 등 공급에 미치는 요인을 검토

 

도는 관할 시구에 공급가능성, 범위, 업무처리지침 등을 제시하고, 구는 도와 협의하여 신규허가 여부를 종합적으로 검토 후 최종 허가 여부를 결정

 

󰊲 세부유형별 허가기준

 

피견인형(트레일러) 차량

 

(허가대상) 견인형 차량(트랙터 등)을 보유한 자

 

*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등 관련 규정에는 견인형 차량 1대당 피견인 차량의 허가대수 제한 규정은 없음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에 사용되는 견인형 특수자동차(트랙터) 또는 피견인형 화물자동차(트레일러)는 단독으로는 운송사업용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견인형 특수자동차(트랙터)와 피견인형 화물자동차(트레일러)가 연결된 상태를 1대로 산정

 

- 모듈트레일러와 같이 부수장치인 파워팩을 장착하여 자체구동이 가능하더라도 견인형 차량(트랙터) 보유한 경우에만 허가

 

- 구난형 특수자동차, 일반형 화물자동차(풀카고) 등에 연결하기 위해 피견인형 차량을 증차 받는 경우에는 허가 불

 

- 최대적재량 100톤 이상의 피견인형 차량의 신규허가 시에는 자동차안전기준 특례를 적용하여 트랜스포터 허가에 준하는 절차를 거쳐 허

 

- 특수용도형 화물자동차 중에서 피견인형 차량을 통해서만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구조이고, 자동차 수송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차량의 경우에만 허가

 

청소용 차량

 

(허가대상) 폐기물관리법,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하수도법,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집운반업 허가를 받은 자

 

(차량기준) 각종 폐기물 관련 법령에 따른 해당 폐기물 등의 운반에만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차량

 

* (허용 ) 운반용 압착압축차량, 수거교반차량, 발효차량, 암롤차량, 롤온차량, 버켓 로더, 밀폐형차량, 분뇨운반차량, 하수준설차량(진공흡입차량)

 

** (불허 ) 카고트럭(기계식 상차장치 부착 차량(일명 집게차) 포함), 덤프트럭, 덤프형 트레일러, 진개덤프, 우드칩(펠릿)운반차, 무빙워크트럭, 윙바디, 폐수탱크로리, 재활용품수집운반차량 등

 

최대적재량 100톤 이상 특수용도형 화물자동차

 

(허가대상) 트랜스포터(운전석 또는 조정장치와 구동, 조향, 제동, 등화장치 및 초대형 중량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하중을 골고루 분산하기 위한 장치를 갖춘 특수용도의 자동차)

 

* 자체구동이 가능한 최대적재량 100톤 이상 모듈트레일러는 트랜스포터가 아닌 피견인 차량이므로 별도 견인형 차량(트랙터) 있어야 허가 가능함

 

(차량기준) 자동차 안전기준의 특례를 적용받아 아래 절차를 모두 거쳐 자동차 등록된 차량

 

 

<자동차 등록 절차>

 

 

 

(1단계) 도로관리청에 도로운행 가능여부 사전심사요청 및 승인

(2단계) 자동차 안전기준의 특례요청 및 승인

(3단계) 기술검토 및 안전검사 실시

(4단계) 등록

(5단계) 기술검토 및 도로교통법에 따른 운행허가를 득한 후 제한운행

 

* 위의 절차와는 별개로 환경부의 환경인증이 이루어져야 등록 가능

 

. 특수용도형 특수자동차 신규 공급

 

(허가대상) 특수용도형 특수자동차로 운송사업 허가를 신청하는 자

 

- 특수자동차 신규허가 후 사업계획 등을 확인하여 실제 사업 활용 여부 검토 후 허가

 

* 화물 운송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수용도형 특수자동차(방송중계차 ) 한 대로 실제 사업 목적 없이 허가만을 중복하여 신청하는 경우 허가 불가


  1. No Image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제 3년간 재도입

    Date2025.08.26 By협회 Views193
    Read More
  2. 2025년 적용 화물자동차 안전운송원가 일부개정고시 안내(철강재,카고)

    Date2025.04.23 By협회 Views393
    Read More
  3. No Image

    화물자동차 운수사업 공급기준['23.12.28. 국토부 고시] 관련 세부 업무처리 지침

    Date2025.03.20 By협회 Views539
    Read More
  4. 교통안전법령 개정 관련사항

    Date2024.09.19 By협회 Views421
    Read More
  5. No Image

    화물자동차 대폐차업무처리규정 및 공급기준 일부개정령 공포 안내.

    Date2024.01.02 By협회 Views715
    Read More
  6. No Image

    화물자동차 대폐차 개정고시안 개정( 약칭: 택배용 화물자동차 범위 2.5톤 이하로 확대 )

    Date2023.03.28 By협회 Views530
    Read More
  7. No Image

    화물자동차 대폐차 업무 처리 규정

    Date2019.10.07 By관리자 Views1659
    Read More
  8. No Image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 약칭: 화물자동차법 )

    Date2019.07.02 By협회관리자 Views707
    Read More
  9. No Image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 ( 약칭: 화물자동차법 시행령 )

    Date2019.07.02 By협회관리자 Views492
    Read More
  10. No Image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 ( 약칭: 화물자동차법 시행규칙 )

    Date2019.07.02 By협회관리자 Views65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