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차의 특성에 대하여*
5톤이상의 화물차는 윙바디 카고 평판등 다양한 종류의 화물차가 있습니다
그리고 건설업에 종사하는 덤프트럭도 화물차 범주에 넣도록 하겠습니다
1.급제동이 어렵다
5톤이상의 화물차량은 뒤에 짐의 무게 때문에 급제동이 승용차처럼 되지 않습니다
즉 제동거리가 엄청나게 깁니다
특히 고속도로에서 화물차 앞에서 급브레이크를 잡는 행위는 자살행위와도 같습니다
절대 고속도로에서는 화물차 앞에서 칼치기를 한다던지 급정거를 하시는것은 정말 위험한 행위입니다
2.시야확보가 어렵다
큰 화물차의 경우 높이가 3미터에서부터 4미터 이상의 해드를 가진 차량들이 많습니다
앞을 보는 시야의 확보는 엄청 양호하나 등잔 밑이 어둡다고 바로 앞쪽의 차량은 보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특히 조수석(화물차의 오른쪽)시야는 극히 보이지 않습니다
차선을 물고 끼어들기를 하다 사고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이면 비켜 주겠지만 조그마한 차량이 조수석쪽으로 치고 들어오면 화물차 기사분들은 사실 보이지 않습니다 승용차 분들이 왜 깜박이 켰는데 보이지 않냐고 항의하지만 보여야 비켜주지 안보이는데 어떻게 비켜줍니까? 그래서 화물차에 끼여들기를 할때는 조심하여야 합니다
3.회전반경이 크다
회전반경이 크다보니 특히 오른쪽으로 돌아 들어갈때 조그만한 승용차가 그속을 파고 들어가면 사고가 100% 사고나 납니다 그러니 화물차의 깜박이을 잘보시고 넓게 회전반경을 돌겠다 싶으면 가까이 가지 않는것이 사고를 예방하는 길입니다
화물차 기사분들이 양보심이 없어서 그러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승용차의 시야확보가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조수석쪽에 카메라를 다는등 여러가지 부착을 하고 있음에도
사고는 피할수 없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이분들이 양보심이 없는것이 아니라 정말 보이지 않아서 이니 서로가 서로를 잘 이해하시는것이 중요한 부분입니다
*화물차의 제동에 관련한 소견*
추레라(트레일러)의 경우 내품의 짐이 40톤에 육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5톤 차량도 마찬가지로 25톤이상 싣는 경우도 왕왕 있습니다
고속도로에서 90km로 리미트가 걸려 있어 실질적으로 90km 이상의 속도를 내지 못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용차가 고속도로을 제때 빠져 나가지 못하고 중간에 서버리면 화물차는 급제동을 할수가 없어 브레이크와 배기 브레이크 리타더등을 이용하여 최선을 다해서 멈추려고 하나 40톤이 넘는 화물은 즉시 멈춤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화물차,추레라 25톤차량의 가격이 2억 가까이 합니다
이분들은 이 차가 밥줄이자 돈줄이자 전부입니다
사고가 나면 자차보험이 없기 때문에 상당히 곤란함을 느끼는 분들입니다
그래서 사고가 나지 않기 위해서 최선을 다합니다
사고가 나면 일도 못하고 차량수리도 해야되고 하면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니기 때문에 죽을 힘을 다해서 멈추려고 합니다 근데 승용차 처럼 서지를 못합니다
짐의 무게가 있기 때문입니다
혹자들은 화물차 기사분들이 멈추려고 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본인이 화물차를 몰아보시면 알수 있습니다
화물차와 화물차 사이에 승용차가 까여 있는 경우가 가장 위험한 구조이고
고속도로에서 화물차앞에서 급차선 변경을 하는 경우도 매우 위험한 경우입니다
고속도로 나들목을 지나치게 되면 다음에 내려서 돌아오시기 바랍니다
굳이 그곳을 나가겠다고 가는순간 황천길을 갈수가 있습니다
생각을 하고 운전을 하셔야 합니다
*화물차 관련 방어운전 요령*
저는 정말 고속도로를 달리다 보면 가장 무서워 하는 차가 덤프트럭입니다
덤프트럭 종사자분들 모두에게 말씀드리는 것이 아니라 가끔 과속 고속도로에서 엄청 빠르게 달리면 겁이 납니다 덤프트럭은 속도제한이 없는듯 보입니다
최소 대형차량인 추레라(트레일러) 25톤 트럭들을 보면 방어운전을 꼭 하셔야 합니다
1) 화물차량의 오른쪽(조수석)에 본인차가 있을 경우 빠르게 벗어나거나 뒤로 빠진다
- 서두에서 말씀드렸듯 화물차의 조수석은 사각지대가 정말 풍부하여 소형차의 경우 화물차 기사분들이 보지못하는 경우가 많으니 반드시 나란히 주행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2)화물차 앞에서 급브레이크를 밟지 않는다
- 화물차의 제동거리는 상상을 초월합니다 특히 실린 내품이 무거울수록 제동거리는 늘어납니다 그리고 제동이 쉽게 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화물차앞에 끼어들어 브레이크를 잡는행위는 그냥 자살행위 입니다. 화물차 앞에서 급브레이크 잡고 나중에 화물차분 원망하시면 안됩니다
3)화물차 뒤를 따라갈경우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시고 화물차와 화물차 사이의 운행은 하지 않습니다
- 화물차와 화물차 사이에 승용차가 끼여 있는경우 사고시 센드위치가 되어 무서운 결과를 초래하니 반드시 끼여서 운행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화물차는 90km가 리밋이니 신속히 추월하여 가시길 바랍니다
4.특히 평판 차량이나 코일차량 그리고 둥근형의 길다란 물건(전신주같은것들)실은 차량은 될수 있음 피해간다
- 이 차량들은 급브레이크 잡을시 전신주가 트레일러의 헤드를 때려 화물차 운전기사의 사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급브레이크를 잡을 수 없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빠르게 치고 빠질수 있는 승용차가 피해가는것이 정말 현명한 방법입니다
5. 차량이 막히거나 밀릴경우 트레일러 및 대형차의 조수석 부분으로 끼어들기를 하시면 안됩니다
- 승용차 특히 작은 마티즈는 아에 보이지 않습니다 명심하십시요
벤츠 만 스카니아 볼보 이베코,현대등 모든 화물차는 사각지대가 엄청 넓고 승용차를 받아도 느낌조차 나지 않아 그대로 밀고가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그러니 깜박이가 모든것을 말해주지 않으니 대형차 오른편쪽으로 있을시 조심하여야 합니다
6.마지막으로 화물차 뒤를 따를때에는 안전거리는 필수이고 신호등이 있는곳에서는 특히 조심해야합니다
- 차량을 운행하다보면 딜레마존이 존재합니다 신호등이 노란불로 바뀌면 갈까 말까 하다가 갑자기 차량이 멈추면 뒷차는 판단미스로 사고가 납니다
근데 화물차가 앞에 있으면 화물차의 뒤쪽이 높아 화물차 밑으로 승용차가 끼여 운전자가 많이 다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그러니 신호등 통과시 화물차의 뒤를 바짝 쫒아가지 않도록 하는것이 안전을 지키는 길입니다
*마무리*
화물차의 차량가격은 상상 이상의 가격을 보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화물차를 운전하시는 분들의 법규준수의 사항도 중요합니다
4차선 도로에서 1차선 2차선 다니시는 몰지각한 화물운전자 분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분들은 화물차가 전재산입니다 언제나 아끼고 사고나지 않도록 많은 본인들이 신경을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낡은 차량들의 정비상태가 불량하여 화물차의 물건들이 도로를 나딩굴어 승용차 타시는분들의 사망사고까지 다양한 사고가 일어나곤합니다
화물차의 특성을 알고 조금만 그분들의 마음을 이해한다고 하면
양보하고 또 양보하여 서로가 즐겁게 사고없이 고속도로를 달리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화물운송업에 종사하시는분들은 우리나라의 산업 각부분에 많은 핏줄과도 같은 역할을 하시는 분들입니다 이분들이 없으면 세상이 멈추어 설수도 있습니다
서로가 조금씩 양보를 하여 안전하게 서로가 서로를 지켜주는 교통문화가 생겼으면 좋겠습니다